텐트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막는 방법
낮과 밤의 일교차가 서서히 커지는 시점부터, 난방 장비를 가동하게 되는 추운 계절이 오면 결로 현상으로 인해 고민이 많으실 거예요. 하지만 결로가 아예 안 생기도록 막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결로가 생기는 원인을 알고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결로 현상 원인과 막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결로가 발생하는 원인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4가지로 나눠서 살펴보겠습니다.
1. 온도 차이
가장 대표적인 이유로는 바로 실내외의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해요.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외부의 찬 공기를 만나 식으면서 텐트 스킨이나 천장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거죠. 이런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바로 여름철에 시원한 음료를 마실 때 컵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도 결로 현상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어요.
이처럼 결로 현상은 실내외의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하므로, 반드시 겨울에만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에요. 겨울철에는 당연히 내부의 난방기구 활용 등으로 인해 온도 차이가 더욱 심하게 나타나지만, 봄, 여름, 가을에도 실내외에 온도 차이가 생기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것이죠.
2. 높은 습도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 발생에 대해서는 잘 아실텐데, 이 습도 또한 결로 발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예요. 사람이 잠을 자면서 호흡이나 땀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뿐만 아니라,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 등으로 인해 텐트 내부에 습도가 높아지면 결로가 쉽게 발생할 수 있어요. 특히 습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텐트의 실내외의 온도 차이가 얼마 나지 않더라도 결로가 발생할 수 있어요.
따라서 실내외의 온도 차이가 얼마 나지 않으니 결로가 발생하지 않겠지라고 안심해서는 안되는 것이죠.
3. 환기 상태
세번째 원인으로는 바로 텐트 내부의 환기 상태에 영향을 받아요. 공기 순환이 잘 된다면 실내의 따뜻한 공기는 밖으로 배출되고 바깥의 차가운 공기가 안으로 들어오면서 온도 차이를 줄여주고 내부의 습기도 쉽게 배출할 수 있는데요. 보통 날이 추워질수록 차가운 공기가 텐트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스커트를 돌을 얹어서 까지 꽁꽁 막으시는 분들도 계신데, 이럴수록 공기 순환이 잘 되지 않아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가 쉬워져요.
4. 텐트 소재
마지막으로는 텐트의 소재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포스팅에서도 설명드렸듯이 면텐트의 경우 면 원단이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표면에 생기는 물방울들을 빨아들여 결로가 쉽게 발생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텐트들은 면텐트에 비해 결로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요.
결로를 최소화시켜 막는 방법
글의 서두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결로를 아예 막기란 불가능해요. 따라서 우리가 해야 되는 것은 결로가 생길까봐 너무 전전긍긍하기보다는 결로가 조금이라도 덜 발생할 수 있도록 최소화하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최선이에요.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1. 공기순환
위에서 결로가 발생하는 원인을 잡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건, 결국 공기가 원활히 순환되도록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첫 번째예요. 보통 텐트를 보면 천장 쪽에 벤틸레이션이라고 하는 빗물의 유입은 막아주면서 외부와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장치가 있는데, 이것에만 의존하지 않고 추가적으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주는 것이 좋아요.
특히 겨울철에 추위를 막기 위해서 외부의 찬 공기를 아예 못들어오게 막는 분들이 계신데, 일산화탄소 중독을 막기 위해서라도 난방 장치를 사용하실 경우 추가적으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주는 게 매우 중요해요.
2. 습기 최소화
두번째는 내부의 습기를 최소화시켜주는 것이 좋아요. 이를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라운드시트나 방수포를 체결해 주는 것이에요. 특히 사람이 호흡을 하면서 나오는 수분 이외에도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땅과 식물의 호흡 과정에서 나오는 습기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막는 것도 매우 중요해요. 노지캠핑을 다니시는 분들은 더 신경 써서 방수포를 깔으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3. 그 외 방법
위 2가지는 기본적으로 하시면 좋은 방법들이고, 이 외에 도움이 될만한 방법을 알려드리면 첫 번째로 팬히터를 사용하시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겨울철 난방기구로 팬히터를 사용하면 내부의 온도는 올려주지만, 수분을 말리는 효과가 있어 결로 발생을 줄여줄 수 있어요. 다만 내부가 쉽게 건조해질 수 있어 실제 사용하시는 분들은 가습기를 놓고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다음으로 텐트의 소재를 고려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 위에서 말슴드린대로 면텐트는 습기를 흡수하는 특징이 있고, 다른 소재들 대비 공기가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통기성도 좋다 보니 결로가 쉽게 생기지 않아요. 다만 면텐트를 잘 말려주지 않으면 쉽게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므로 관리에는 더욱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
결론
결국 완전히 막을 수 없는 결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위에 알려드린 것들을 조합해서 실천하시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해요. 결로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만큼,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최선의 예방을 통해 행복한 캠핑 생활을 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