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기후동행카드, K패스 각각 얼마를 써야 유리할까?

LearningShare 2023. 10. 10. 19:46

서울시에서 최근 월 65,000원에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후동행카드라는 교통 복지정책 출시를 예고했는데요. 이미 정부에서 K패스라는 제도를 내년 7월에 도입한다고 발표한 만큼 약간 혼란스러우신 분들이 있으실 거예요. 오늘은 이 둘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게 유리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 K패스 정책 비교

우선 두 정책의 차이점부터 먼저 살펴볼게요.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기후동행카드와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K패스의 가장 기본적인 차이점은 대상 지역이 다르다는 점인데요.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지역 한정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K패스는 전국을 대상으로 이용이 가능한 정책이에요.

 

추가적으로 기후동행카드에는 서울시의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포함된다는 점 또한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최소이용횟수의 경우 기후동행카드는 최소이용 횟수가 따로 없는 정액형 이용권이라고 보시면 되고, K패스는 21회 이상 사용해야 적립이 가능한 할인권이라고 보시는게 좋습니다. 

 

구분 기후동행카드 K패스
지역 서울시 전국
대중교통 버스, 지하철, 공공자전거 버스, 지하철
최소이용 횟수 없음 21회
할인 방법 65,000원 정액,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월 21회~60회 대중교통 이용하면 적립

 

기후동행카드, K패스 어떤 분들께 유리할까

 

따라서 서울시에 거주하시는 분들께는 기후동행카드, K패스 두 가지 선택지가 놓이게 되는 셈인데요. 현재 발표된 내용을 기준으로 했을 때 어떤 분들께 유리한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현재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출발하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만 이용이 가능하고, 경기, 인천 등 다른 지역에서 출발하는 경우에는 해당이 안된다는 점 먼저 참고해 주세요.)

 

1.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한 분들

 

1) 출퇴근에만 대중교통을 이용한다고 할 경우

65,000원을 각 출근일 수 별 나눴을 때 나오는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65,000원 / 20일 출근 = 왕복 3,250원 (편도 1,625원)
  • 65,000원 / 23일 출근 = 왕복 2,826원 (편도 1,413원)
  • 65,000원 / 25일 출근 = 왕복 2,600원 (편도 1,300원)

각자의 출근일 수에 맞춰서 왕복 또는 편도 금액이 위 금액 이상으로 나올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합니다. 

 

2) 대중교통 출퇴근 이외에, 하루 1회 이상 추가적으로 이동하시는 분들

위에서 살펴본 대중교통 출퇴근 금액 이외에 1회 이상 추가 이동 비용이 발생하시는 분들이라면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합니다. 이처럼 하루 3회 이상 꾸준히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에게는 특히 유용한 제도라고 할 수 있죠.

 

3)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시는 분들 중 따릉이를 정기권을 내고 타는 분들

기후동행카드의 경우, 추가적인 금액 지불 없이 따릉이 1시간 이용권이 무제한 지급되다 보니, 대중교통으로 출퇴근하시는 분들 중 따릉이를 정기권까지 결제하고 타시는 분들이 있다면 기후동행카드 이용을 추천드립니다.

 

2. K패스가 유리한 분들

 

1) 기본요금 구간으로만 다니는 분들

반면 기본 요금 구간으로만 다니는 분들께는 기후동행카드가 큰 혜택이 없을 것으로 보여요. 정액권이기 때문에 65,000원을 다 안 쓰시는 분들께는 오히려 손해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이런 분들께는 21회만 이용하면 적립이 가능한 K패스가 도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서울시 시내버스가 2023년 8월 기준 1,500원으로 기본요금이 인상되었고, 지하철요금은 2023년 10월 7일부터 1,400원, 2024년 중으로 1,550원으로 인상이 예정되어 있는 만큼, 환승요금이나 추가적으로 이동이 한두 번 더 생기는 분들의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를 쓰시는 것도 고민해 보실 만합니다.

 

최종 정리

오늘은 간단하게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를 얼마를 써야 유리한지, 또 어떤 분들께 유리한지 알아봤습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춰서 교통비 최대 절감 혜택을 누리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이 두 제도 모두 실제 출시된 정책이 아니고, 23년 10월 기준 발표된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한 자료이므로 향후 변경될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향후 정책이 변경되면 다시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포스팅

월 65,000원으로 서울시 모든 교통수단 이용 가능한 기후동행카드

K패스 도입, 알뜰교통카드와 무엇이 다를까 (혜택, 일정, 카드 발급 등 총정리)